겨울철이 되면 “대설주의보가 발효되었습니다” 또는 “폭설로 인해 교통이 마비되었습니다”라는 뉴스를 신문이나 방송에서 자주 보게 됩니다. 그런 데 반해, 많은 분들이 대설주의보와 폭설의 차이를 정확히 알고 있는 경우는 드문데요. 그래서 이번에는 이 두 가지의 다른 점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대설주의보와 폭설의 정의
대설주의보는 기상청이 발령하는 기상특보로, 예상 적설량이 24시간 내에 5cm 이상일 때 발효됩니다. 반면에 폭설은 기상특보와는 별개로,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양의 눈이 내리는 현상을 뜻합니다. 폭설에 대한 공식적인 기준은 없지만, 보통 사람들이 느끼기에 눈이 많이 내린다고 생각하는 경우를 일컫습니다.
대설주의보에 대한 이해
대설주의보의 발령 기준은 24시간 동안 5cm 이상의 적설이 예상될 때입니다. 이 경우, 강원도 산지나 제주도 산간에서는 5cm 이상의 눈이 예상될 때 발효됩니다. 대설주의보는 교통 정체나 빙판길 사고의 위험이 있지만 적설량은 비교적 적습니다. 또한, 대설경보는 대설주의보보다 더 많은 눈이 내릴 것으로 예상될 때 발효되며, 24시간 동안 20cm 이상의 적설이 있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출퇴근 시간을 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도로가 미끄럽기 때문에 여유를 갖고 이동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빙판길에 주의해야 합니다. 미끄럼 방지 신발을 착용하고, 노약자 분들은 가능한 한 외출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폭설이란 무엇인가?
폭설은 짧은 시간 안에 상당히 많은 눈이 내리는 현상입니다. 공식적으로 폭설의 기준은 없지만, 눈이 집중적으로 내려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경우를 폭설이라고 부릅니다. 폭설의 주된 원인으로는 한랭 전선의 강한 영향이 있으며, 찬 공기가 빠르게 들어오면 폭설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폭설의 피해 사례와 대처 방법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신청 방법과 지원 대상 지급 기준 자세히 알아보기
서해안과 동해안에서 형성되는 눈구름도 폭설을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특히, 강원도 산지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강설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입니다. 예를 들어, 2021년 1월에는 수도권에서 3시간 만에 서울에 13cm의 눈이 내렸고, 퇴근길 교통이 마비되었습니다. 이처럼 폭설로 인한 피해 사례는 적지 않습니다. 만약 폭설이 올 때는 불필요한 외출을 자제하고, 비상 물품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손전등, 생수, 비상식량 등을 확보해 두는 것이 좋으며, 차량 운행 시에는 스노우 체인을 장착하고 저속으로 주행해야 합니다.
건물의 지붕 위에 쌓인 눈은 정기적으로 치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지붕의 붕괴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특히 겨울철에는 더욱 신경 써야 합니다.
대설주의보와 폭설, 그 차이는?
대설주의보와 폭설은 혼동하기 쉬운 개념인데요, 실제 사례를 통해 비교해 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2021년 수도권에서는 3시간 동안 13cm의 폭설이 내렸고,
2018년 강원도는 30cm 이상, 2016년 제주도는 무려 70cm 이상의 눈이 쌓였습니다.
각 사례에서의 피해 수준을 보면, 수도권은 교통 정체와 출퇴근길 혼란이 있었고, 강원도는 건물 붕괴와 도로 마비가 발생했습니다.
제주도에서는 항공편 결항과 차량 고립 사고도 있었습니다. 대설은 기상청이 발효하는 공식 경보와 관련이 있습니다.
폭설 대비 및 Q&A
폭설은 대설 특보와 관계없이 내리는 강한 눈의 양을 의미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설주의보는 공식적인 기상특보로, 폭설은 단기간에 내리는 강제의 현상입니다.
대설주의보가 발효되면 폭설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며, 교통 마비나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Q1. 대설주의보가 발령되면 무조건 폭설인가요?
A. 아닙니다. 대설주의보는 5cm 이상의 적설 기준을 충족해야 발령되며, 폭설은 기준 없이 내리는 많은 눈을 의미합니다.
Q2. 대설주의보와 대설경보 중 어느 쪽이 더 심각한가요?
A. 대설경보가 더 심각합니다. 대설주의보는 5cm 이상 적설이 예상될 때 발령되고, 대설경보는 20~30cm 이상의 폭설이 예상될 때 발효됩니다.